반응형

글. 작가언니

"친구는 세상에 나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존재하는 거야


- 더글라스케네디 '마음을 읽는 아이 오로르' 중에서 "

얼마 만의 여행인지..
멀리 갈 수 없는 상황이기에..
원하는 곳에 갈 수 없기에 우리가 생각한 최선은 근교 캠핑이었다. 마스크 없이 밖에서 놀 수 있다며 아이가 얼마나 좋아하던지..
그런 따뜻한 마음속에서 함께 한 '마음을 읽는 오로르'라 더 많이 반갑고 행복하게 오로르를 만날 수 있었다.

마법을 쓰는 아이 오로르를 만나 책을 읽는 내내 온전히 오로르의 이야기에 몰입하게 되는 마법 같은 도서.⠀

『신비한 힘을 가진 11살 오로르는 사람들이 자폐아라 부르고 장애인이라고 말하는 아이이다.』
라고 책 소개 글에 나와 있지만,
오로르를 만나 책을 덮는 순간까지 단 한순간도 오로르가 장애가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그저 늘 행복하고 타인의 마음을 살피며 나 자신이 뭐든 해낼 수 있음을 믿는 오로르의 당찬 용기와 자신감이 꼭 안아주고 싶을 만큼 사랑스럽기만 했다.

자폐증 스펙트럼 안에 있던 아들 맥스의 건강한 성장을 곁에서 지켜본 작가 더글라스케네디가 그려내는 이야기 속 오로르는 누구보다 당당하고 자신의 소신에 흔들림이 없는 아이다.

작가는 오로르를 통해 가족, 관계의 복잡성, '힘든 세상'에서 필요한 연민과 관용과 이해, 그리고 세상을 남다르게 인지하는 사람들의 특성 등에 관한 아주 현대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완성했다.

오로르의 눈으로 보고 생각하는 세상에는 상상 속 세상인 '참깨 세상' 만큼은 아니지만 현실의 지금을 칭하는
'힘든 세상'만의 행복이 존재한다.

"힘든 세상 사람들은 모두가 나름대로 외로워.
그래서 '친구'라는 개념이 생긴 거야.
친구는 그냥 재미있게 놀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게 아니야.
세상에 나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 주기 위해 존재하는 거야"

글 속에서 자신의 외모로 크게 상처받는 루시가 등장한다.
학교 아이들에게는 물론 엄마가 쏟아내는 모진 말들에 상처받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며 오로르는 마음 아파하고 돕고 싶은 마음을 끊임없이 가지며 조지안느 선생님에게 질문하던 장면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여 필사를 해뒀는데 역시나 책의 표지에도 그 문구가 실려있다.
"다른 사람의 행복은 네 책임이 아니야. 네 행복이 남의 책임도 아니고."
"그래도 행복해지도록 남을 도울 수는 있죠."
"그래. 시도할 수는 있어. 남을 도우려고 하는 건 아주 좋은 일이기도 해.
그렇지만 인생을 더 밝게 보도록 남을 설득하는 건 불가능한 일이야. 인생을 달리 보는 건 스스로가 해야 하는 일이야."

오로르가 다시 묻는다.

"행복은 선택이에요?"
"모든 건 선택이야."

______________

언제나 자신을 믿고 긍정으로 다가가는 아이 오로르.
주변에서 할 수 있겠냐고 걱정의 시선을 보내면 "난 할 수 있어요. 걱정 마세요"라고...
비록 말을 할 수 없지만 자기의 의사 표현 도구인 태블릿에 빠르게 입력을 해서 보여주며 싱긋 웃는 아이 오로르.
바라만 봐도 행복한 아이 오로르와 꼭 대화를 나눠보고 싶은 충동이 느껴진다.
비록 내 생각을 온전히 다 읽어버린다고 해도 말이다. ^^

아이의 손에 들려있는 도서가 빛나도록 예뻤던 날.
자연 속에서 아이의 벗이 되어주기도 했던 오로르.
누드 사철 제본으로 만들어져 있어 양쪽 페이지가 굴곡 없이 쫙 펴지는 게 너무 마음에 든다는 아이.

함께 할 수 있어 행복했다고 '오로르' 에게 인사를 건네보며...^^

나만큼이나 즐겁게 아이가 오로르를 읽어주고, 그와 관련된 수다를 한참이나 나눈 것만으로도 참 고마운 도서.
아이들과 공통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어머님들께 꼭 추천하고 싶은 도서이다.

반응형
반응형


글. 작가언니


"지금 이 순간 존재 전체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우리는 이다음
순간 더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어요.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마음을 나누면 서로의 마음이
맑아져 맑고 향기로운 꽃을 피우게
됩니다."

- 스님 법문집 '좋은 말씀' 중에서

느긋이 산책을 즐기다 초록이 좋아 자리잡았던 날.
자연 속에 머무는 시간은 언제나 선물같다.

인생이란 되풀이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늘 '지금' 을 살고 있을 뿐입니다.
지금 내가 내 삶을 어떻게 살고 있느냐 이것이 문제입니다.

흔히들 우리 사회의 어두운 구석이 하루빨리 없어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자면 먼저 가정이, 어머니들이 달라져야 한다고 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적합니다. 가정은 사회를 구성하는 기초적인 단위이고, 그 가정의 기둥은 어머니이기 때문입니다...가정이 건강하지 않을 때 여러가지 문제들이 파생됩니다...자식을 육체적으로만 탄생시키는 어머니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웃을 사랑할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을 자식의 가슴에 싹 틔우는, 그래서 진정한 탄생을 맛보게 하는 어머니가 되어야만 합니다.

우리 어머니의 길을 제시해주시는 글.

부담감이 아닌 좋은 가르침으로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는 글.
완벽한 엄마에 대한 강요가 아닌 제대로 아이들을 사랑으로 키우기를 바라는 말씀이 마음에 와닿는다.

요즘 뉴스를 보면 친어머니가 맞을까 귀를 의심하게 되는 사건들이 쏟아진다.
이러면 안되는데...
참으로 가슴이 먹먹해지는 오늘.

"온화한 마음으로 성냄을 이겨라.
착한 일로써 악을 이겨라.
베푸는 일로써 인색함을 이겨라.
진실로써 거짓을 이겨라."

남이 나를 어떻게 이해합니까? 또 내가 어떻게 남을 다 이해할 수 있어요? 피상적인 관찰이고 피상적인 판단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이웃 간에, 친구 간에 듣기 싫은 소리를 듣더라도 거기에 파르르 타서 재가 되지 마세요. '내가 지금까지 남한테 듣기 싫은 소리를 많이 한 탓에 듣기 싫은 소리 한번 들어 보아라, 하고 울려오는 메아리구나.' 이렇게 생각해야 돼요.

구구절절 옳은 스님의 좋은 말씀들.​



"진달래가 진달래답게 피어나듯,
그대도 그대답게 피어나라."



나도 나답게.
그대도 그대답게.
우리 아이들도 아이들답게.

그렇게 나 다운 모습을 사랑하는 매일이 되길 바라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